† 은혜 받은 말씀 †

상류사회를 지향하는 한국 교회 현실에 - 톨스토이의 가르침

타이거뉴스 2013. 3. 5. 00:32

 

 

 

 

 

톨스토이는 당대의 훌륭한 신앙인이자 신학자, 예수님의 참제자

 

박기호 신부 2013. 03. 03
조회수 5394 추천수 0

"교회는 죽었다!"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루가 6,36~38).”
 
톨스토이.jpg
*톨스토이의 모습

레브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의 생애를 보면, 그는 50세에 이르러서 사상적 혼란에 봉착해서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었습니다. 지배계급의 폭압 정치와 지주들의 농민 착취는 말할 것도 없고, 교회까지도 상류사회의 교회가 되어 썩어버렸다고 보았습니다.  거기다가 자신의 젊은 시절의 방탕은 회개하였다고 할지라도, 현재의 신앙과 문학정신에서 볼 때에 자신의 삶이 미사려구로 가득차 있을 뿐 진리에 기초한 삶이 못된다고 여겨졌습니다.  
 
인간은 결국 진리와 절대선과 하느님의 정의에 다가갈 수 없는 것인가? 지상의 삶에서는 하느님 앞에 나갈 자격을 얻을 수 없다는 실존적 회의 앞에 비참했던 것입니다. 이런 회의는 도덕주의자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지요. 

마르틴 루터는 아우구스틴수도회에서 누구보다 훌륭한 수도자이고 사제였습니다. 자기생활을 성찰해 보면, 정욕의 괴롭힘과 형제들에 대한 미움과 질투로 살고 있으니, 아무리 열심히 산다고 해도 구원받을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 앞에 괴로워했습니다. 그는 단식기도 중에 로마서 3장의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명제를 발견하고 큰 깨달음에 이르게 되었는데 이것이 종교개혁의 기초 영성이 되었습니다. 

톨스토이는 신앙에 더욱 매달리면서 복음서를 다시 읽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교회의 교리와 제도가 예수님에게서 너무 멀리 떨어져 나와버렸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톨스토이의 육화신학에 따르면 하느님께서 아들을 세상에 보내신 이유가 인간의 삶 안에서 아버지의 뜻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예수님의 가르침에 따르는 삶만이 하느님께 합일되는 길이며 구원의 길이라는 것이 골자입니다.
 
그는 4복음서를 통합하여 ‘스토리 바이블‘을 정리하고, 교회의 계율이나 교리, 공의회의 결정이나 성직자의 설교보다도 오직 복음에 충실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초대교회 삶으로 돌아가자!’ 고 주장합니다. 그는 실제로 사도행전 공동체 정신에 따라 자신의 토지와 집을 내어놓았고 그의 추종자들은 폴라냐에 공동체를 세웠습니다.  이 문제는 아내와 자식들로부터 이해받지 못해 가정불화로 노년을 불행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교회는 죽었다!’고 질타하던 그는 유명한 작품 ‘부활’을 발표한 이후 정교회로부터 파문을 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동서방 교회는 톨스토이의 신학사상을 불용하면서 단지 문인(문호)으로 폄훼하였습니다. 

그렇더라도 톨스토이는 당대의 훌륭한 신앙인이자 신학자였고 예수님의 참제자였음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톨스토이를 단지 베스트 셀러 작가이자 문명비평가 수준으로 보거나 심지어 종교적 이단으로 본다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저는 톨스토이가 19세기말 예수 그리스도의 훌륭한 제자였다고 생각합니다. 
 
사실은 우리도 마르틴 루터나 톨스토이처럼 인간으로서 확실한 구원을 확보하는 신성에 이르는 길이 너무 멀리 느껴지곤 합니다.  그렇지만 ‘인간이셨던 예수님의 삶과 가르침에 담긴 인간성과 품성, 정신을 닮아 실천하고 사는 것은 어느 정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인간적 덕성에 합일됨을 목표로 살아간다면 마침내 신성에 이르게 될 것이라는 믿음을 갖게 됩니다. 저는 이것을 예수살이공동체 영성기반으로 제시했습니다. 

“아버지께서 완전하심과 같이 너희도 완전한 사람이 되어라!” 

“아버지께서 자비로우심 같이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우리 신앙은 예수님의 가르침을 수행의 목표로 삼아야 합니다. 예수님의 인격과 품성으로 살고 가르침에 전적인 실행력으로 살고, 예수님의 마음으로 살고 예수님의 눈으로 보고 정신으로 판단하는 삶이어야 합니다. 그것이 하느님께 합일되는 지상의 길입니다. 

박근혜를 찍은 사람들이 오늘만이라도 행복하기를... (2013. 2. 25) * 


 
박기호 신부
1991년부터 천주교 서울대교구 사제. 1998년 ‘소비주의 시대의 그리스도 따르기’를 위해 예수살이공동체를 만들어 실천적 예수운동을 전개했다. 소비주의 시대에 주체적 젊은이를 양성하기 위한 배동교육 실시했고, 5년 전 충북 단양 소백산 산위의 마을에서 일반 신자 가족들과 함께 농사를 짓고 소를 키우며 살아가고 있다.
이메일 : sanimal@catholic.or.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소를 위한 기도소를 위한 기도

    박기호 신부 | 2013. 02. 01

    모든 존재의 생명을 주재하시는 하느님 아버지,아버지께서는 우리로 하여금당신이 창조하신 자연의 질서에 순종케 하시고썩은 초목과 동물의 분뇨로 땅을 기름지게 하시며농부들의 손이  땅을 가꾸고 씨앗을 뿌려 곡식을 얻게 하십니다.우리 마을...

  • 두려움으로부터 자유두려움으로부터 자유

    박기호 신부 | 2013. 01. 07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배워라(마태 11,28~30).” 사진  김정효 기자의무감과 두려움에서 벗어나면 자유를 얻을 것입니다. 그런데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좋아하는 일 하고 싶은 일만 하고도 살아갈 수 있는가? 본성에 따라서 산다면 동물과 ...

  • 내 생의 짐과 멍에는 무엇인가?내 생의 짐과 멍에는 무엇인가?

    박기호 신부 | 2012. 12. 27

    영화 <워낭소리>의 주인공인 강제균 할아버지와 소.  사진 강재훈 기자“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배워라(마태 11,28~30).”“무거운 짐을 지고 고생하는 이들은 모두 나에게 오시오. 내가 편히 쉬게 하겠습니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

  • 무소유의 대자유무소유의 대자유

    박기호 신부 | 2012. 12. 10

    소백산 산위의마을 미사   사진 조현“나는 어떤 처지에서도 풍족하게 사는 비결을 알고 있습니다(필립 4,10~19).”‘무소유’란 가난하지만 자유로운 삶을 말합니다. 돈을 벌려고 애쓰는데 가난하거나, 교도소에 살아서 돈을 만지지 않고 사는 ...

  • 우리가 버린 삶이 우리를 버렸다우리가 버린 삶이 우리를 버렸다

    박기호 신부 | 2012. 12. 03

    전철에는 긴의자에 일곱 명이 앉습니다. 그 중에 다섯 명은 스마트폰을 들어다 보고 있지요. 무표정한 얼굴로 손가락만 밀고 찍고 긁고 오무렸다폈다 하는데, 혼자서 헤죽헤죽 웃기도 합니다. 내 옆의 아줌마도 뭔가 열심히 들어다보고 있길래 슬쩍...

RSS